Part 1 선박의 이해
제1절 선박의 정의 2
1.1 선박의 법적인 정의 2
1.1.1 해상법상의 정의 1.1.2 선박법상의 정의 1.1.3 해사안전법상의 정의
1.2 선박의 분류 2
1.2.1 추진 원동력에 의한 분류 1.2.2 추진기에 의한 분류
1.2.3 사용목적에 의한 분류 1.2.4 법규에 의한 분류 1.2.5 선형에 의한 분류
제2절 선박의 주요치수 7
2.1 선박의 길이 7
2.2 선박의 폭과 깊이 8
2.3 흘수와 만재흘수선 9
2.4 선박의 톤수 13
2.5 선명과 선적항 17
제3절 선체의 구조와 명칭 22
3.1 선체 구역의 이해 22
3.2 기본 명칭 22
3.3 선체형상의 명칭 24
3.4 선체구조 25
3.5 선체 도면 33
제4절 선박의 주요설비 37
4.1 조타설비 37
4.2 동력설비 41
4.3 계선설비 43
4.4 하역설비 46
4.5 항해설비 47
4.6 구명설비 50
4.6.1 구명기구 4.6.2 개인용 구명설비 4.6.3 조난설비
4.7 소방설비 55
4.8 통신설비 58
4.9 방수설비 59
4.10 배수설비 61
4.11 해양오염 방지설비 61
Part 2 항해일반
제1절 항해의 개요 68
1.1 항해학이란 68
1.2 항법의 분류 68
제2절 항해 관련 용어 69
2.1 지구상의 위치용어 69
2.2 거리와 속력 72
2.3 방위와 침로 73
2.4 방위와 침로개정 76
제3절 해도와 수로서지 82
3.1 해도의 도법 82
3.2 용도에 따른 해도의 분류 85
3.3 해도의 정보 87
3.4 수로서지 93
3.5 해도 및 수로서지의 개정 94
3.6 국제신호서(International Code of Signal Glossary) 97
Part 3 조석과 조류, 항로표지
제1절 조 석 108
1.1 조석, 조류의 차이점 108
1.2 조석 용어 109
1.3 조석과 각종 해면의 높이 113
제2절 조 류 119
2.1 조류 용어 119
제3절 해 류 121
3.1 해류 용어 121
제4절 항로표지 123
4.1 항로표지의 종류 123
4.2 주간(형상)표지 124
4.3 야간(광파)표지 125
4.4 등대의 등질 127
4.5 등대의 기타 특징 130
4.6 광달거리 131
4.7 국제해상부표시스템 (IALA System) 132
4.8 기타 항로표지 및 육상통신 135
Part 4 항 법
제1절 연안항법 148
1.1 선위의 종류 148
1.2 위치선 149
1.3 동시 관측법 150
1.4 격시 관측법 153
1.5 선위측정 시 오차 155
1.6 연안항로 선정 156
제2절 대양항법 163
2.1 대양항법의 종류 163
2.2 평면항법 163
2.3 거등권항법 164
2.4 중분위도 항법 164
2.5 점장위도 항법 165
2.6 대권항법 166
2.7 집성대권항법 168
2.8 대양항해 시 고려할 사항 168
제3절 전파항법 174
3.1 전파항법의 개요 174
3.2 RADAR 항법 175
제4절 천문항법 176
4.1 천문항법의 개요 176
Part 5 항해기기
제1절 컴파스 184
1.1 마그네틱 컴파스 184
1.2 자이로 컴파스 189
제2절 GPS와 AIS 195
2.1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195
2.2 AIS(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197
제3절 RADAR 204
3.1 레이더 개요 204
3.2 레이더 구성 204
3.3 레이더의 특징 206
3.4 레이더의 펄스파 206
3.5 X-band & S-band의 비교 209
3.6 레이더의 성능 209
3.7 레이더의 거짓상 213
3.8 ARPA 214
3.9 레이더의 화면 표시 216
제4절 선속계, 측심의 225
4.1 선속계 225
4.2 측심의 (Echo Sounder) 227
제5절 통신기기 229
5.1 DSC 229
5.2 VHF 229
5.3 MF/HF 230
5.4 EPIRB 230
5.5 INMARSAT 231
5.6 NAVTEX 231
5.7 SART 232
5.8 GMDSS에 대하여 232
제6절 기 타 234
6.1 VDR 234
6.2 ECDIS 235
Part 6 선박조종
제1절 선박의 운동 244
1.1 육자유도 운동 244
1.2 선체가 받는 저항 245
1.3 파랑중의 위험현상 246
1.4 선박의 추진 247
1.5 추진과 회두작용 249
제2절 선회권(Turning circle) 253
2.1 선회권과 용어 253
2.2 선회권의 크기에 영향을 주는 요소 255
2.3 최단 정지거리에 영향을 주는 요소 256
2.4 IMO 조종성능 기준 257
2.5 선회 중 타압에 의해 일어나는 선체운동 258
제3절 계 류 264
3.1 계류시설 264
3.2 계류삭의 종류와 역할 265
제4절 묘 박 268
4.1 닻 (Anchor) 268
4.2 닻줄의 종류 268
4.3 파주력 (Holding power) 270
4.4 묘박법 271
4.5 투묘작업 273
제5절 선박의 복원성 281
5.1 복원성 관련 용어 281
5.2 복원성에 영향을 주는 요소 283
5.3 선박의 안정성 285
제6절 항행여건에 따른 선박조종 291
6.1 협수로에서의 조종 291
6.2 제한된 시계 내에서의 조종 291
6.3 선박 예인 시의 조종 292
6.4 선박의 충돌 시의 조종 292
6.5 천수영향(Shallow water effect)에서의 항해 292
6.6 안벽과 해저경사의 영향을 받을때의 조종 293
6.7 두 선박 상호간의 작용 294
Part 7 해양기상
제1절 대기와 해양 302
1.1 대기의 성분 302
1.2 대기의 구조 303
1.3 해양의 규모와 형태 303
제2절 기상요소와 기상 관측 305
2.1 기 온 305
2.2 기온의 일변화와 연변화 305
제3절 기 압 307
3.1 정 의 307
3.2 고기압과 저기압 307
3.3 기압마루와 기압골 308
3.4 전 선 309
제4절 계절풍과 기단 311
4.1 계절풍 (Monsoon) 311
4.2 기 단 311
제5절 풍력과 시정 313
5.1 풍 력 313
5.2 구 름 316
5.3 시 정 317
5.4 습 도 318
5.5 안 개 318
제6절 해상관측 321
6.1 해 파 321
제7절 태 풍 322
7.1 태풍은? 322
7.2 태풍의 발생조건 322
7.3 태풍의 일생 322
7.4 태풍의 모양과 구조 323
7.5 태풍의 특징 324
7.6 태풍중심과 선박의 관계위치 324
7.7 황천조선법 325
7.8 열대 저기압의 발생 지역에 따른 이름 325
7.9 태풍주의보와 경보 326
7.10 폭풍우고조 326
제8절 일기도 327
Part 8 해상인명구조와 수색
제1절 익수자(M.O.B) 구조 조종법 334
1.1 긴급조치 334
1.2 Williamson turn (윌리암스 턴) 335
1.3 Scharnov turn (샤르노브 턴) 336
1.4 One turn (“Single turn, Anderson turn”) 337
1.5 Two 180°Turn (반원 2회 선회법) 337
제2절 해상 수색 방식 (Search pattern) 340
2.1 Expanding Square Search (확대사각수색, 확대정방형수색) 340
2.2 Sector Search (부채꼴 수색) 341
2.3 Track line Search (항적선 수색) 342
2.4 Parallel Track Search (Parallel sweep Search, 평행선항적 수색) 343
Part 9 선용품 관리 및 선체 도장
제1절 선용품 관리 346
1.1 로 프 346
제2절 선체 도장 350
2.1 도료 및 도장의 개요 350
2.2 선박용 방식 도료 350
2.3 소재의 표면처리 351
2.4 도장방법 352
Part 10 선내조직과 승무원의 직무
제1절 선내 조직 356
1.1 선내 조직 356
제2절 승조원의 직무 357
2.1 승조원의 업무 357
2.2 승조원의 업무 359
제3절 위생 관리 361
3.1 의료관리인 361
3.2 의료 용품의 관리 361
3.3 위생 검사 362